(수소)”교통수소수급위원회” 구성

산업통상자원부는 2월 23일(목) 오후 2시 천영길 에너지정책실장을 위원장으로 석탄센터에 ‘이동형 수소수급자문단’을 출범시켰다.

의장.

ㅇ 지난해 강원도, 충북 등 일부 지역에서 수소 수급 잠정 중단에서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올해는 수소를 원활하게 공급하고 수소차 이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‘수요-공급’ “, “관-산”, 부처 간 협업 체계를 강화했습니다.

ㅇ 협의조직은 수소수급을 담당하는 산업부와 수소유통을 담당하는 기관(한국가스공사)을 중심으로 한다.

이 부문은 기체 및 액화수소 생산업체와 수소 판매업체, 가스 안전업체로 구성되어 있으며, 한국석유관리원은 수급 관련 자문 및 지원을 맡는다.

교통수소수급위원회 시무식 요약 ]
ㅇ 일시 및 장소 : ‘23.2.23.(목) 14:00~16:00 / 콜센터 4층 회의실

ㅇ 참석자 : (주관) 수소보급 전문기관인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(위원장)
(수요) 환경부, 국토교통부, 수소충전업체(하이넷, 코하이젠 등), 수소차 제조사
(공급) 기체수소제조업체(가스공사, 가스기술공사 등), 액화수소제조업체(해창원, SK E&S, 린데하이드로젠에너지), 수소유통업체(덕양에너젠, SPG, 서진산업가스, 아프로티움, 린데코리아, 에어 리퀴드, SDG, 창신화학 등)
(지원) 가스안전공사, 석유청

ㅇ 논의주제 : 2023년 컨설팅기관 추진계획 및 수소수급전망

□ 협의체는 분기별로 정기적으로 개최하며, 수소 수급에 문제가 있을 시 언제든지 개최할 수 있습니다.

ㅇ 특히 이번 Kick-off 회의에서는 2023년 수소 수급에 대한 전반적인 전망을 논의하고, 수소 수급 안정화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였다.

2023년 수소차·충전기 공급, 생산기지·액화플랜트 구축 계획

(수요) 2023년 수소차 보급 및 충전소 구축 계획

□ 2022년 말 현재 수소차 29,733대가 보급되었으며, 환경부는 넥쏘 16,000대, 버스 700대, 트럭 100대, 쓰레기 수거차 120대 등 총 16,920대를 추가로 공급할 예정입니다.

올해의 차량은 47,000대입니다.

전파됩니다.

ㅇ 산업부는 수소 인프라를 갖추고 대형 수소버스 보급 의지가 있는 지자체를 지원*할 예정이다.

* 연료전지시스템 조달지원 시범사업

ㅇ수소차 제조사인 현대자동차는 2023년부터 고상버스 본격 생산을 포함해 수소 상용차 생산을 확대할 계획이다.

□ 2022년 말까지 229기의 수소충전소가 구축되었으며, 환경부는 올해 말까지 91기, 총 320기를 추가로 구축할 계획입니다.

ㅇ 국토교통부는 올해 트럭수소충전소, 수소운송종합기지, 고속도로 수소충전소 등 다양한 교통·물류거점에 수소충전소를 확대할 계획이다.

ㅇ 대표 민간 수소충전소 운영사인 하이넷은 올해 최대 17개의 수소충전소를 추가로 오픈하여 총 54개의 수소충전소를 운영할 계획이다.

ㅇ 또한, SK E&S는 주유소뿐만 아니라 액화주유소도 증설하고, 액화플랜트 준공에 맞춰 연말까지 11개 주유소를 건설·운영할 계획이다.

728×90

(공급) 수소생산기지 및 액화플랜트 구축, 수소분배기 운영 등 2023년 공급계획

□ 자동차용 기체수소 생산업체인 가스기술공사는 평택에 7톤/일 생산기지를 4월 재가동하고 KOGAS는 창원(10톤/일)과 광주(4톤/일)에 생산기지를 구축한다.

일) /일) 11월.대규모 수요 확대에 대처할 계획입니다.

ㅇ 또한, 인천, 대전, 부산, 완주 등 지역 거점에서도 연내 소규모 생산기지(1톤/일)를 구축하여 수요지 인근에 수소를 공급할 예정이다.

□ 액화수소는 5월 창원을 시작으로 11월 인천, 12월 울산에 액화공장을 준공하여 수소 상용차 대중화에 따른 수요 대응

*(창원) 5톤/일, (인천) 90톤/일, (울산) 15톤/일

□ 수소딜러들은 올해 연간 약 5,800톤의 수소를 충전소에 공급할 계획이며, 컴프레서 증설, 수송시설 증설 등 안정적인 수소 공급 확보에 적극 동참할 계획이다.

(수급) 2023년 수소 수급 전망

□ 2023년에는 수소에너지 차량의 대중화로 수요가 약 10,000톤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, 생산기지 및 액화공장 건설로 공급능력은 약 15,000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

수요 상황은 여전히 ​​양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

ㅇ 다만, 생산기지 및 액화플랜트 건설이 하반기에 집중될 예정이므로 단계별, 지역별 수급불균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협의기관을 통해 수급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예정이다.

* 출처: 산업통상자원부

반응형